CI/CD 의 개념, 적용해본 후기
개요
얼마 전, SNS를 보다가 재미있는 글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. 이 글은 이상적인 프로그래머의 삶이 어떤 것인지를 그린듯한 글이었습니다. 출근과 퇴근이 자유롭고 소스코드 관리가 잘 되어있어서 버그는 간단하게 3줄 정도를 고치면 된다는 등 꽤나 흥미로운 내용이니 궁금하신 분은 여기서 읽어보시길 바랍니다. 캡처본이 여기저기 돌아다니니 한 번쯤 읽어 보신 분들도 꽤 많을 거 같네요.
CI/CD는 위에 있는 글에서 한마디로 정의하고 있습니다. 개발 - 빌드 - 테스트 - 배포까지의 전 과정을 자동화하는 것이 바로 CI/CD의 핵심 개념입니다.
CI, CD의 개념
짧게 개념잡기
CI (Continuous Integration)란
여러 개발자가 작성하거나 수정한 소스를 지속적으로 통합하고 테스트하는 것을 뜻합니다
CD (Continuous Delivery/Deployment)란
개발, 통합, 배포, 릴리즈, 테스트를 자동화하여 지속적으로 배포하는 것을 뜻합니다.
CI를 적용할 때의 흐름
- 개발자는 자신이 개발한 소프트웨어의 소스코드를 공통된 버전 관리시스템(github 등)에 저장합니다.
- 소스코드상에 변동이 생기면 버전 관리 시스템에서는 CI 툴 (Jenkins)로 소스코드 변경을 알립니다.
- CI툴에서는 변경된 소스코드를 대상으로 Build, Test, Merge를 진행합니다. 이 과정들이 완료되면 슬랙, 카카오톡, 메일 등을 통해 통합 결과를 알립니다.
CI 툴
Jenkins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. CI와 CD를 모두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할 수 있는 여러 플러그인들이 있어서 CI/CD를 구현하는 것을 편리하게 할 수 있습니다. 단지 CI 전용 서버를 따로 구축해야 한다는 부담은 있습니다.
최근에 나온 Github Action에서는 따로 CI서버를 구축할 필요 없이 CI를 구현하게 해주고 있습니다. 아래 내용과 같은 파일을 만드는 것으로 CI 전략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on: push
jobs:
test:
strategy:
matrix:
platform: [ubuntu-latest, macos-latest, windows-latest]
runs-on: ${{ matrix.platform }}
steps:
- uses: actions/checkout@v1
- uses: actions/setup-node@v1
with:
version: 12
- run: npm install-ci-test
- uses:
CI의 장점
하나의 소프트웨어에 대해 수많은 개발자들이 동시에 개발을 진행하고 이 소스코드를 정기적으로 통합하는 회사라면 소스코드의 병합은 상당히 많은 공수를 요구하는 일이 될 것입니다. CI를 적용한다면 소스코드의 변동이 생길 때마다 지속적으로 개발자들의 코드를 병합하고 테스트를 진행합니다. 변경한 소스코드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지 테스트를 실행하고 일련의 과정 중 코드의 충돌, 테스트의 실패 등이 발생하면 즉각적으로 알림을 전송합니다. 이 과정을 통해 아래 장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.
- 개발의 편의성이 증가합니다.
- 변경된 코드에 대한 즉각적 피드백과 검증이 가능합니다.
- 소스코드의 통합과 검증에 들어가는 시간 단축합니다.
CD를 적용했을 때의 흐름
CI를 통해 검증된 소스코드를 지속적으로 배포해야 하기 때문에, CD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CI가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.
- CI를 통해 소스코드를 검증합니다.
- 검증된 소프트웨어를 실제 프로덕션 환경으로 배포합니다.
CD의 장점
- CD의 장점은 실제 배포할 애플리케이션의 서버가 여러 대일 때, 배포할 작업물이 여러 개일 때 나타납니다. 수작업으로 여러 작업물을 여러 서버에 배포할 때 발생하기 쉬운 실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.
- '원클릭으로 빌드, 테스트, 배포 자동화'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. 즉 소스코드 변경부터 배포까지의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할 때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습니다.
- 개발자는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.
실제 사용 사례
제가 작성한 토이 프로젝트인 DelFood에서 CI/CD를 구현하였습니다. DelFood는 아래 사진과 같은 구조로 설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입니다. 빌드 - 테스트 - 배포까지의 과정이 너무 귀찮아서 CI와 CD를 구현한 제 사례를 이야기해보고 싶습니다.
DelFood의 CI/CD 전략
- Github에 소스코드를 푸시하면 Github에서는 Jenkins로 Web Hook을 날립니다.
- Jenkins에서 빌드-테스트를 진행하고 검증된 소스코드로 도커 이미지를 만듭니다.
- Jenkins 내부에 설정된 스크립트로 만들어진 도커 이미지를 Docker hub로 푸시합니다.
- Jenkins에서 프로덕션 서버로 스크립트 실행 명령을 날립니다. 해당 스크립트를 받은 운영서버는 Docker hub에서 이미지를 다운로드한 후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합니다.
소스코드를 Github에 푸시하는 것 만으로 빌드, 테스트, 배포까지 모두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설정해두었고 같이 협업하던 동료들의 소스코드가 병합될 때 오류가 발생하면 바로바로 알아챌 수 있어서 무척 편리했습니다.
CI/CD를 구현하게 된 계기는 불편함 때문이었습니다. 직접 수작업으로 배포할 때는 애플리케이션을 Jar파일로 묶어준 후 FTP를 통해 운영 서버에 Jar파일을 옮겨 실행해야만 했습니다. 변경되기 전 버전의 Jar파일을 옮기는 실수를 하기도 했고, 옮긴 후 실행을 시키지 않아서 변경사항이 적용되지 않은 적도 많았습니다. 이 작업이 매우 귀찮은 작업이었기 때문에 소스코드를 변경하고 실 운영서버에 배포하는 작업을 잘 안 하게 되기도 했습니다. CI/CD의 존재를 알게 된 이후에는 소스코드를 커밋할 때마다 자동으로 모든 작업이 진행되니 더 이상 제가 손댈 일이 없어져서 참 좋았습니다.
조금 더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.
마치며
아직 CI/CD가 구축된 개발을 진행해보지 않았다면 꼭 자동화된 CI/CD를 구축해보시기를 강력하게 추천드립니다. CI/CD의 장점을 위에 여러 개 나열해보았지만 가장 큰 장점은 귀찮은 작업이 사라진다는 것입니다. 푸시 한 번으로 모든 작업이 완료되는 편리함은 개발자가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게 해 주고, 업무 능률의 증가로 이어집니다. CI/CD에 대한 소개는 여기에서 마치겠습니다.
References
https://www.redhat.com/ko/topics/devops/what-is-ci-cd